Starry night

2017.01 Movie_디태치먼트 (Detachment, 2011) 타인에 대한 구역질 나는 무관심 본문

살아가기/영화감상

2017.01 Movie_디태치먼트 (Detachment, 2011) 타인에 대한 구역질 나는 무관심

moomin95 2017. 2. 13. 16:27


Detachment

1. 분리 2. 초연 3.무관심

'타인에 대한 구역질 나는 무관심'을 담은 영화 디태치먼트(Detachment, 2011)

STILLCUT

이 이야기는 유난히 문제아들만 모아져 있는 고등학교에 기간제 교사로 근무하게 된 헨리를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된다. 이 학교는 다른 학교에서는 받아주지도 않아 교육을 중단해야 할 수도 있는 아이들이 모여있는 곳이다. 하지만 학교에 올라와도 아이들은 변하지 않는다.  그저 자신과 같은 문제아들이 많은 학교에 배정되어 그렇지 않은 아이들과 분리되었을 뿐 학교도 아이들도 그 무엇하나 변한게 없었다.

그런 학교에 기간제교사인 헨리가 왔다. 헨리는 사람에게 '변할 수 있는 기회'를 주고자 한다. 그리고 그런 수업방식과 헨리의 태도는 학생들은 마음을 조금씩 열게 된다. 하지만 헨리는 아이들에게 애정을 줌과 동시에 의식적으로 선을 그었다. 자신에 대한 사회와 사람들의 틀 안에 억압되어있던 왕따학생 메레디스는 본연 그대로의 자신을 인정해주는 헨리에게 마음을 열지만, 선을 긋는 헨리에 거절당하자 충격을 받는다. 그리고 거의 동시에 거리에서 만난 에리카에게 새로 시작할 수 있는 기회와 위안을 주었지만, 에리카에게도 선을 그으며 본인의 세계와 분리시키고자 하였다.

메레디스는 드디어 자신을 인정해주는 사람을 찾았다고 생각했다. 그 생각에 메레디스는 그에 대한 기대감과 구원감을 가졌지만, 그 마음들은 헨리의 선긋기로 다 무너져버렸다. 다른 사람같으면 단순한 거절이었겠지만, 메레디스에게는 아니였다. 그녀는 항상 부정당하는 삶이었다. 그리고 다른사람에게 기대감을 가질 생각도 하지 않았다. 거절당하기도 전에 부정당하는 삶이었기에. 그런 메레디스가 거의 처음으로 기대감을 가지고 손길을 내밀었지만, 처음 겪는 거절에 메레디스는 어떻게 대처할지 몰랐던 것이다. 그리고 메레디스는 기간제가 끝난 헨리가 떠나는 날에 약이 든 쿠키를 먹고 자살을 하게된다.

헨리는 사람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믿고 그에 대한 손길을 내밀어 주는 사람인 동시에 타인에 대해 자신과 철저히 분리하여 '무관심'을 유지하는 사람이었다. 이런 헨리의 태도는 어렸을 적 어머니의 죽음 속에서도 아무것도 할 수 없었던 자신의 '무기력함'에 대한 반성과 동시에 본인의 탓이라며 질책하는 '할아버지'를 향한 위안 속의 '무더지는 감정'이 헨리에게 큰 영향을 주지 않았을까 생각을 한다.

타인에 대한 자신의 무관심을 자각하고 떠나보냈던 에리카와 재회하는 장면을 통해 타인에 대한 자신의 손길에 의해 다른 사람이 변할 수 있으며, 그리고 자신이 손길을 거두었을 때 그 파급력은 자신의 생각보다 큼을 느낄 수 있었다. 다른 사람에게 애정을 쏟고, 관심을 가지는 것이 손해보는 행동이며, 사람들과의 거리를 두는 관계가 만연해지는 현재의 사회를 돌아볼 수 있게 해준 영화였다.

길지 않은 시간의 영화였지만, 내게 준 감동과 의미는 1시간 반 이상의 큰 가치였다. 다음에 기회가 되면 감독 토니 케이의 다른 영화도 볼 수 있게 되길 바란다.


감상일: 2017-01-?     글작성: 2017-02-13



'살아가기 > 영화감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7.02.06(Mon) 컨택트 Arrival  (0) 2017.02.06